쉽다. 특정 IP나 module에 대한 합성된 ngc 파일을 가지고 있다면, ISE project에 간단하게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더 간단할 수 있는데 툴이 약간 신경을 덜 써주는 것 같기도 하다. (그냥 ngc 파일만 add project 하면 되련만 ㅎ) 인터넷을 검색하면 아래의 글이 나온다. 여기가 정답인듯How-do-I-use-a-NGC-file-toanother-ISE-project그래도 간단히 정리해 보면, 그 다음 프로젝트 폴더에 해당 ngc파일을 복사해 둔다. (다른 폴더에 해도 된다. 그럼 아래 그림에서 해당 Path를 지정해 주면 된다.) 1. 일단 ngc 모듈의 이름을 동일하게 가진 빈파일을 하나 만들어야 한다. 여기서는 Black box로 표현하고 있다. 예제를 간단히 만들면 m..
.ngc 파일에서 vhdl, verilog top 파일 만들기 ISE를 쓰는 경우, ngc파일을 가지고 있어 사용하는 경우 top파일이 필요하기도 하다.간단하게 ngc에서 top 파일 만드는 방법http://www.fpgadeveloper.com/2011/08/how-to-read-an-ngc-netlist-file.html To convert the netlist into VHDL type “netgen -ofmt vhdl filename.ngc“. Netgen will create a filename.vhd file.To convert the netlist into Verilog type “netgen -ofmt verilog filename.ngc“. Netgen will create a filen..
reference : http://www.ics.uci.edu/~jmoorkan/vhdlref/literals.html 상수 constant FREEZE : integer := 32; constant TEMP : real := 32.0; constant FLAG :bit_vector(0 to 7) := "11111111"; constant MSG : string := "Hello"; 숫자 표현 BIT_8_BUS
제품 링크 : http://www.digilentinc.com/Products/Detail.cfm?NavPath=2,400,897&Prod=NEXYS3FPGA가 조금 작아서, 이정도 레벨에는 간단하게 ARM Slave Peri 정도 테스트가 가능하겠다.보통 Xilinx에서 slice 로 gate count를 표현을 해놓으니 감이 없어서 간단하게 tm으로 적어둔다. UART, PWM, I2C, SPI 머 이런 인터페이스 블럭은 올려서 해 볼 만한 보드다운로드 툴이 따로 제공되니 다른 고민은 좀 덜하고 설계에 집중가능해당 홈페이지에서 필요한 자료 몇개 링크 정보 가져와서 저장5/31/11 Nexys 3 schematicsDownload1/21/14 Nexys 3 reference manualDownload3..
오래된 이야기지만,저장해 두자. 내용은 간단하고 읽기 쉽다. 차이점을 몰라도 코딩에는 문제 없지만. 이런 것이 있다는 정도 =) from : http://web.mit.edu/6.111/www/f2012/The IEEE Verilog 1364-2001 Standard. What's News, and Why You Need It(로컬카피)
Microsemi Application note 에 있는 그림을 잘라 가져온다. 약간 헷갈릴 수 있는데, 그림으로 잘 그려두었다.기본이 4바이트(워드라고 부른다)로 동작을 하니 바이트 동작을 하는 경우 alignment가 신경 쓰인다. 그냥 콱 4바이트 전용으로 동작하면 좋으련만 녹록치 않다 세상은. ^^그림을 보면 이해가 쏙, HADDR의 하위 2비트를 옵셋으로 사용하고, HSIZE가 동작 단위이다.당연히 HSIZE="00" 인 경우 바이트 동작이므로 4가지의 경우가 생기고HSIZE="01" 인 경우 2바이트 단위이므로 2가지의 경우가 생긴다. (상상일 수 있지만, HADDR[1:0] = "00" 이나 "01" 이라도 같은 동작일 듯 하다. 상위비트로 구분할 듯)그리고, HSIZE = "10" 인 경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